해당화[海棠花, 문화어: 열기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입니다. 

흔히 매괴(玫瑰)라고 부르기도 하네요.

5~6월부터 피기 시작하며, 7~8월경 한창 열매가 해풍을 맞아 빨갛게 탐스럽게 익어가고 있는 해당화!

활짝 핀 모습을 보고 싶었는 데...  조금 시든 모습도 나름 매력은 있더군요?^^

해당나무·해당과(海棠果)·필두화(筆頭花)라고도 하며,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1.5m로 가지를 치며 갈색 가시가 빽빽이 나고 가시에는 털이 있다.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심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한다. 

향기가 좋아 관상가치가 있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 해당화에 대한 전설 ]

 당나라 현종 황제가 어느 따뜻한 봄날 심향전에 올라가 화창한 봄날을 즐기다가 아끼고 사랑하는 양귀비를 불렀다. 그때 양귀비는 지난 밤 연회 때 마신 술이 깨지 않아 자리에 누워있는데 황제의 부름을 받아 혼자 일어설 수가 없어서 시녀의 부축을 받으며 황제 앞에 나가니 백옥같이 흰 얼굴이 양 볼에는 홍조가 곱게 피어 있었다. 황제는 양귀비를 보고 "너는 아직도 취해있느냐?"하니, 양귀비는 "해당화의 잠이 아직 깨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는데, 붉게 된 자신을 해당화에 비유해 즉석에서 재치 있는 대답을 하였다고한다.

해당화 꽃말은 "원망,온화" 말고,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미인의 잠결' 이라 합니다.

해당화꽃은 향수 원료로도 사용되고 해당화 열매는 한약재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해변의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의 전 해안 사지에서 볼수 있었지만

현재는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곳이 드물다고 합니다~ 

열매는 편구형 수과로서 지름 2∼3cm이고 붉게 익으며 육질부는 먹을 수 있다. 


펜스테몬 (Penstemon). 현삼과 펜스테몬속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전 세계에 250종이 분포되어 있는 다년초식물입니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질경이과(Plantaginaceae) 식물이다. 

양지, 노지월동 식물로 적당한 조건에서 특별한 주의 없이도 잘 자라는 식물로써

키가 큰 것부터 키가 작은 난장이 펜스테몬까지 그리고 빨강, 노랑, 살구색등 색상이 다양해서

키우는 재미도 쏠쏠한데 화분보다 화단에 적당하답니다.

펜스테몬의 꽃말은 ‘은혜'랍니다.








다양한 색의 Penstemon


카멜레온포체리카 / 꽃말 : 청순, 가련, 순진함 / 학명: Portulaca oleracea L,var granatus bailey

영명: Purslane  / 분류: 쇠비름과 쇠비름속,한해살이 화초  / 원산지: 남미,중국,인도 / 식물명: 태양화

이명 : 숙근채송화, 포테리카, 꽃쇠비름, 서양채송화, 카멜레온,무늬포체리카, 양채송화,

무늬 태양화,꽃채송화, 쇠비름채송화, 오색쇠비름채송화, 따꽃, 댕명화, 반지련 등으로 불림

꽃색: 흰색,주황색, 분홍색,노랑색,붉은색등 다양하고 홑꽃과 겹꽃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한두 송이씩 달리고, 색깔은 붉은색, 흰색, 황색, 자주색 등이 있다.


pelargonium 펠라르고늄 - 제라늄에 비해 줄기가 가늘고 길며, 잎은 얇고 반문이 없다. 

또한 가격도 더 저렴하고 꽃색깔도 화사합니다.








자귀나무 Silk Tree , 夜合樹 , ネムノキ合歓木 소찰밥나무 /콩목 콩과의 식물 / 학명 : Albizia julibrissin

중국 이름은 합환이고, 일본 이름에도 ‘잠을 잔다’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어서 

우리 이름인 자귀나무에도 이런 뜻이 들어 있을 것 같은데, 어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잠자기의 귀신 나무’로 알아두면 자귀나무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귀나무 향기는 복숭아향 같기도 하고 은은한 향수처럼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고 기분좋게 합니다.

꽃말이 '가슴 두근거림, 환희'라고 하니까 부부 금실 좋아지고 싶은 분들 부부끼리 두 손 꼭 잡고 

자귀나무 꽃 찾아 들이나 산으로 가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자생지는 제주도입니다.

자귀나무 꽃이 활짝 피는 시기. 장마가 시작되는 시점입니다. 

'잠자는 귀신, 자는 일에는 귀신' 같다 해서 자귀나무로 이름 붙여진 나무입니다. 나무를 깍아 다듬는 연장인 자귀의 손잡이로 쓰는 나무라고 자귀나무로 불려지게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자귀나무는 밤만 되면 잎이 합쳐진다는 뜻에서 야합수, 합혼수, 유정수라 불리기도 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꽃 핀 모양이 부채 같다 해서 부채나무, 소가 잎을 잘 먹는다 해서 소쌀밥나무, 소밥나무라 부르기도 합니다. 콩과 식물이라 콩깍지 같은 열매가 달리는데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서 흔들려 여설수란 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여자 여, 혀 설, 나무 수란 이름 입니다. 경우에 따라 조금 거북하게 들릴수도 있습니다. 

옛날 사람들 시각입니다.

자귀나무는 예부터 신혼부부 방 창가에 심어 부부 금실이 좋아지기를 기원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밤이 

되면 펼쳐져 있던 작은 잎들이 서로 합해져 붙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낮에는 잎을 수평으로 펴서 빛을 최대한 받아 들이다가 밤에는 잎을 마주 접는데, 이런 식물에는 자귀나무, 미모사, 자귀풀, 괭이밥 등이 있습니다.





6월11일의 꽃은 '버베나', 꽃말은 '단결'

자잘한 꽃들이 나홀로가 아니라 서로 붙어 꽃송이를 이룬다.

꽃이 작고 아름다워 여름화단에 빼놓을수 없는 보배,

꽃색도 다양해 모듬으로 또는 좋아하는 색상만 이용할 수 있다.

화단의 볕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잘 산다.

박람회나 전시회에서 화단 전면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마편초과 집안, 아메리카 대륙이 고향, 많은 형제들이 있다.

꽃 하나도 예쁘지만 함께 어울려 조화가 뭔지 보여주는 꽃,

꽃색도 다양, 작은 송이송이들, 오래보면 사랑스럽다.^^


말나리 -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하늘나리’와 비슷하지만 꽃이 옆을 향해 피며 

인경의 인편에 둥근 마디가 있는 것이 다르다. 주로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꽃말 : 순진, 순결

전통 미술품에 등장하는 나리는 주로 책거리도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학문에 정진하여 관직에 오르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그렸던 책거리도에 나리꽃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나리꽃의 상징 의미가 벼슬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이라고 합니다.


인삼에 버금가는 기린초의 효능  이명 백심초마삼초양심초

학명 : Sedum aizoon L.   과명 돌나물과 (Crassulaceae) 속명 꿩의비름속 (Sedum)
영명 : Orange stonecrop    향명 가는집우지기꿩의비름토삼칠

한국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등지의 온대지방에 분포하며우리나라의 경우 중부 이남의 산에서 자란다.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인 붉은점모시나비는 애벌레 시절 기린초를 먹고 자라며 성충이 되어서는 엉겅퀴를 먹이식물로 이용하고 있다고 알려졌다그만큼 기린초는 무공해 지역에서 자란다는 반증이다.

잎이 두툼헤 가뭄에도 잘 견딘다줄기는 뭉쳐나고 원기둥 모양이며 곧게 선다높이는 50cm 정도이고 잎은 길이 3~6cm에 어긋나며바소꼴이 거꾸로 줄 모양 또는 좁고 긴 타원형으로 잎자루가 없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뒤에 모두 털이 없다꽃은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7~8월에 원줄기 끝에 노란 꽃이 많이 달린다꽃받침잎은 넓은 줄 모양으로 밑부분이 약간 퍼지고 꽃잎은 바소꼴 또는 넓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5개이다열매는 골돌과로서 달걀 모양이다기린초속리기린초와 더불어 개화기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白三七(백삼칠뿌리를 비채(費菜)라 하며 어린 줄기와 잎을 나물로 먹는다.

효능 동양의 허브이며 영양소가 풍부하고 인삼과 비슷한 강장효과가 탁월하다.

연한 어린 순은 식용하는데 주로 4월 중에 채취하여 가볍게 데쳐서 나물로 먹으면 맛이 담백하다.

전초를 이라하며 꽃이 필 때 전초를 채취하여 말려서 잘게 썰어서 사용한다.

지혈이뇨진정소종 등에 사용하고 혈액의 순환을 돕는다적용질환은 토혈코피 흐르는 증세혈변 등에 사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