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matis terniflora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성 낙엽관목. 

산록 이하에서 흔히 자란다. 길이 5m 내외로 벋어가고 잎은 마주나며 3∼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으로 3∼5개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나 간혹 깊게 패이기도 한다.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향기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잔털이 있고 긴 암술대에는 긴 털이 깃처럼 돋는다.

한방에서는 위령선(威靈仙)이라고 하며, 진통 및 이뇨제로 신경통과 류머티즘에 사용한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작은잎에 톱니가 있는 것은 국화으아리(var. denticulata)라고 하며 전라남도 여수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옛날 중국에 금슬 좋은 부부가 살았는데 남편이 바깥에서 돌기둥에 기대서 잠을 자다 중풍으로 사지마비가 

되어 10년동안 드러눕게 되었다. 이때 어떤 의원이 부인에게 약초를 가르쳐 주며, "당신 남편은 풍과 습으로 인해서 온 중풍이니 내가 주는 약을 복용시키시오"하고는 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서 주었다. 부인은 잔뿌리를 잘라내고 물에 불렸다가 잘라서 막걸리와 버무려 달여 먹게 하고, 말렸다가 가루 내어 식초와 버무려 사지에 붙이게 하자 몇 개월 후에 남편은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완쾌되었다. 부인이 의원에게 약초의 이름을 물으니 

아직 이름이 없다하여 즉석에서 이름을 지었는데, "약의 성질이 위엄있고 신선과 같이 영험하니 위령선이라 짓자"고 하였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듯하다.[]


회화나무 槐花, Chinese Scholar Tree는 콩과에 속하는 나무로 학명은 Sophora japonica 입니다. 

회화나무는 우리 선조들이 최고의 길상목(吉祥木)으로 손꼽아 온 나무다. 이 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 큰 학자나 큰 인물이 난다고 하였다. 또 이 나무에는 잡귀신이 감히 범접을 못하고 좋은 기운이 

모여든다고 하였다. 그런 까닭에 우리 선조들은 이 나무를 매우 귀하고 신성하게 여겨 함부로 아무 곳에나 심지 못하게 했다.  회화나무는 고결한 선비의 집이나 서원, 절간, 대궐같은 곳에만 심을 수 있었고 특별히 공이 많은 학자나 관리한테 임금이 상으로 내리기도 했다.  회화나무는 모든 나무 가운데서 으뜸으로 치는 신목

(神木)이다.

회화나무를 중국에서는 학자수, 출세수, 행복수라고도 부르는데, 이 나무를 심으면 집안에 학자가 나고 큰 

인물이 나오며 집안에 행복을 부른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실제로 이 나무는 그 수형에서 호탕한 영웅의 기개와 고결한 학자의 풍모가 함께 느껴진다.  한참 이 나무를 보고 있으면 그 엄숙한 위엄에 압도되어 존경

하는 마음이 생기고 자신도 모르게 자세를 바로잡게 하는 힘이 있다. 

회화나무가 길상목으로 꼽히게 된 것은 중국의 주나라 때부터이다.  

주나라 때에 삼괴구극(三槐九棘)이라 하여 조정에 회화나무 세 그루를 심었으며 우리나라로 치면 3정승에 

해당하는 3공(三公)이 회화나무를 마주보며 앉게 하였고, 또 좌우에 각각 아홉 그루의 가시나무를 심어 

조정의 대신이 앉게 하는 제도가 있었다.

이 회화나무를 심는 풍속 때문에 3공(三公)의 위(位)를 괴위(槐位)라 하였고 대신의 가문을 괴문(槐門)이라 

불렀다. 또 회화나무를 심으면 출세한다고 하였고, 선비가 이름을 얻은 뒤에 물러날 때에도 회화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회화나무꽃   꽃말은 망향,  꽃은 차로도 복용

8월에 새로 자란 가지 끝에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이 꽃은 괴화(槐花)라고 하여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약으로 쓴다. 꽃피기 전의 봉우리를 괴미라고 부르는데 그 모양이 쌀을 닮았기 때문이다. 회화나무 꽃에는 꿀이 많아 벌들이 많이 모여들고 회화나무꿀은 꿀 중에서 제일 약효가 높다고 한다.  

회화나무꿀은 특히 항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화나무는 회화목(懷花木), 회나무, 홰나무, 괴화나무, 괴목, 괴수 등으로도 부르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키 45미터, 지름 3미터까지 자라는 이 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은행나무 다음으로 몸집이 크게 자란다.  

수형이 웅장하고 단정하여 품위가 있어 정자나무로도 인기가 있다. 


초여름에 볼 수 있는 기린초麒麟草인데 징한 여름햇살에도 이쁘게 잘 피었네요^^

기린초(麒麟草)는 돌나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중국 전설에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의 뿔과 닮았다고 붙여진 기린초   꽃말:소녀의 사랑

잎의 모양이 마치 다육식물과 같이 두툼하면서 육질이 좋기 때문에, 식용으로도 많이 이용되는 식물이다.

남도지방에서는 겨울에도 고사하지 않고, 잘 자라는 우리나라에서 몇 안되는 식물중의 하나이다.

어린잎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황금세덤을 황금기린초, 황금환엽만년초, Gold Japaness Sedum 이라고 하는데, 

야광세덤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원산지:남아프리카  꽃말:설렘


여름꽃

                                 - 이문재

그대와 마주 서기는

그대 눈동자 바로 보기는

두렵고 또 두려운 일이어서

저기 뜨락에 핀 꽃

여름꽃을 보고 있다

어둠의 끝에서

몸을 활짝 열었던 아침꽃들

정오가 오기 전에

꽃잎으로 제 얼굴을 가리고

안으로 돌아가 있다

해를 바로 보기가 어려운 것이다

어려워서 여름꽃은

꽃잎을 모아 합장한다

여름꽃은 자기 안으로 들어가

해의 눈동자가 된다

물싸리(금로매), 장미과,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꽃말 "생각이 나요" 

형태/분포 낙엽활엽관목  음양구분 양지/반음지   내한성 강    크기 1~1 5m내외로 자란다 

꽃 6~8월에 노랑색으로 피며 원래 북부지방이지만, 관상용으로 가져와 기르기 시작하면서 많이 볼 수 있다.

떡갈수국

학명:Hydrangea quercifolia 'Alice' 일명:柏葉紫陽花 (かしわばあじさい) 북미계의 수국중에 하나.

개화기 : 6~8월   꽃말 : 진심, 변덕, 처녀의 꿈

잎이 커다란 떡갈나무의 잎과 흡사해 '떡갈잎수국'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떡갈잎수국 '앨리스'는 떡갈잎수국의 기본종을 개량한 품종으로 

꽃차례에 겹겹의 무성화만 달리는 것이 특징이에요. 

꽃은 한여름에 원추모양으로 하얗게 피우며,

가을에는 단풍이 붉게 물들어 화려하게 한 해의 대미를 장식한답니다.


Montbretia 몬트부레치아  범부채 와는 차이가 많은 식물이기는 하지만 

범부채와 비슷하게 생겼고 꽃이 작아서 애기범부채라고 불립니다. 

남아프리카가 원산인 식물이며, 진홍색, 노랑색, 붉은색 등 여러가지 색의 꽃을 피웁니다. 

애기범부채는 양지에서 잘 자라지만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편입니다. 



용머리(Dracocephalum argunense)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중국 동북부·시베리아·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줄기에서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15-40㎝ 자라고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달리고 선형이며 윤기가 난다. 잎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겨드랑이에 잎이 무리지어 핀다. 

꽃은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자줏빛이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의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다. 화관은 통처럼 생기고 끝은 입술 모양으로 자주색 점이 있다.

용머리(Dracocephalum argunense)  꽃말은 "승천"

꿀풀과, 깊은 산 숲 속에 자라는 야생초이다.

'용머리' 란 이름은 아마도 꽃 모양에서 비롯된 것 같다.

잎은 마치 '로즈마리' 잎과 비슷하다







노각나무 Korean Mountain Camellia  한국의 고유식물로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교목

꽃이 매우 청초하고, 아름다우며, 배롱나무나 모과나무처럼 벗겨진 담홍색의 수피가 매우 아름답다.

 노각나무는 남쪽지방의 표고 1,200m까지 분포하고 지리산, 소백산, 평안도 일부와 

속리산, 가야산 이남과 밀양 표충산에서 생육된다. 

노각나무는 서로 와구와구 몰려있지 않고 숲 속에 조화로이 홀로 서있어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 무늬의 매끈한 수피가 마치 숲속에 숨은 사슴의 뿔을 보는 듯하다. 그래서 그런지 "노각나무"는 “나무껍질이 꽃사슴의 뿔과 같다”는 의미로 “녹각(鹿角)나무”라고 부르던 것이 “노각나무”가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또 한자이름인 “금수목(錦繡木)”은 나무껍질이 마치 비단을 수놓은 듯이 아름답고 매끈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비단나무”라고도 부른다.

잘 발달된 노각나무의 수피는 적황색 또는 흑적갈색의 얼룩무늬가 있어 자생하는 숲 속 

어디서든지 알아 볼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