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정취는 찾기 어렵지만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라 작은 풍경하나도 멋드러집니다.









전동성당(殿洞聖堂)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88호로 지정되었다.

일제 강점기였던 당시 통감부는 전주에 새 길을 내기 위해 풍남문 성벽을 헐었는데 보두네 신부가 그 성벽의

돌들을 가져다 성당 주춧돌로 사용했다고 한다. 성당 지하에는 당시 썼던 주춧돌이 성당을 탄탄히 떠받치고 있다.

공사는 중국인 벽돌공 백여명이 동원돼 전주성을 헐은 흙으로 벽돌을 구웠고, 석재는 전북 익산의 황등산의

화강석을 마차로 운반해 왔다. 목재는 치명자산에서 벌목해 사용했다고 한다.

전동성당은 완전한 격식을 갖춘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동서양이 융합된 모습이어서 어머니의 품처럼 따스함을

느끼게 한다. 호남지방의 서양식 근대건축물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오래된 것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화강석을 기단으로 사용한 붉은 벽돌 건물로서, 내부는 둥근 천장으로 되어있고 중앙의 종탑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작은 종탑들은 조화로운 입체감과 건물의 상승감을 더해준다. 비잔틴 풍의 종머리는 건물 본체와 잘 어우러져 사진촬영 명소로 도 각광받고 있다.

성당 앞에 세워진 하얀 그리스도 상은 성당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한국 최초 순교터' 라고 새긴 기념비는 이 곳 전주의 아픈 천주교의 역사를 품은 전동성당의 존재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전주 풍남문은 조선 시대 전라감영의 소재지였던 전주를 둘러싼 성곽의 남쪽 출입문으로 성벽이 헐린 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문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08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관찰사의 소재지였던 전주에는 시가지를 둘러싼 성곽이 초기부터 있었으며, 그 성곽에는 동서남북에 각각 문이 있었는데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에 모두 파괴되었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에는 풍패향 전주의 남문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전주성의 남문이 바로 풍남문이다. 후백제의 왕도였으며 조선 왕조의 발상지인 전주를 상징하는 풍남문은 유서 깊은 성문으로 근래에 복원하여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전주의 명물이다.

풍남문 종각에서 파루를 쳐서 부성 안에 조석을 알렸던 종소리는 이제는 서울 보신각 종처럼 제야(1월1일 0시)에 종소리를 울려 이 고장의 새해 새 희망을 안겨주고, 새로운 각오를 다짐하게 한다.



경기전 서편에 있는 부속 건물들인데 다양한 용도로 지어져 있어 둘러 볼만 했습니다.

경기전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사용한 거처라 더욱 정감이 가는 한옥입니다^^

경기전 내 많은 건물들이 왜란 이후 재건축한 점이 아쉽지만 그래도 옛모습이 좋습니다.

왕의 어진을 모신 사당보다는 실제 사람들이 살고 사용했던 공간이라 더 그런 마음이 든 건 아닐까요?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전주 한옥마을 부근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묘사(廟祠)이다. 조선 왕조의 개창자인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어진을 모신 건물이다. 1991년 1월 9일 대한민국 사적 339호로 승격되었고, 2008년 12월 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78호로 지정되었다.

전주는 전주 이씨인 조선 왕실의 본관지로써 조선이 세워진 뒤에는 조정으로부터 우대받았다. 태종(太宗) 10년

(1410년) 어용전(御容殿)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경기전이 세워졌으며, 조선태조의 어진을 이곳에 봉안하게 되었다.

예전에 대충 둘러 보는 것보다 다시 찾아 여유롭게 보니 한결 더 눈에 들어오는 게 많아 집니다^^

한옥마을에서 느끼지 못한 선조들의 시간을 만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경기전의 남동쪽 담장 부근에 이르면 예종의 태실 및 태실비가 자리하고 있다. 고승들의 부도와 흡사한 태실 및 태실비는 원래 완주 태봉산에 있던 것을 1970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한옥보다는 사람 구경만 실컷하고 온 전주나들이^^

조금 이른 시간이라 한산하더군요~

이번이 4번째 방문인데 아마 다음엔 찾지 않을 것 같은 풍경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가 점차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것은 상업화된 전통거리로 변질되어 버린 것에

단순 방문은 무의미해지는 것 같아집니다?


용담호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의 금강 상류에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생긴 인공호수 입니다.

이 댐이 건설됨으로써 담수가 시작되었고, 용담호는 진안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관공명소가 되었습니다.

용담댐를 찾은 이유는 환경조각공원을 들르기 위함이었는 데,

네비로도 찾이 못해 길을 많이 둘러 가게 된 것 같네요~

혹 가시려는 불친님들은 용담댐물문화관을 검색해 보세요~

도착해서는 눈이 그친 것 같았는 데...    또  내리더군요~

용담댐이 생기며 용담댐 주변의 자연을 느끼고 체험하는 디지털 생태정원 공간인 용담댐 물문화관과
일상속의 폐품을 활용한 조각작품 200여점이 전시된 공간인 용담댐 환경조각공원이 조성 되었습니다.

정크 아트 Junk Art - 일상 생활에서 생긴 폐품이나 잡동사니를 소재로 제작하는 미술.

한곳에 이렇게 많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둘러 보기 정말 좋았습니다~

흰백, 구름운의 백운면은 흰구름이 쉬어 간다는 뜻으로 무진장(무주, 진안, 장수군)의 높은 고원에 자리한

아담한 시골 마을입니다.

원촌마을은 지난 2007년 "아트인 시티-진안 백운면 공공미술 프로젝트'라는 사업명으로 문화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여 진안 백운면 마을 사람들과 디자인 전문가들이 기획, 도시와 농촌의 경계없는 자유로운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모두 34개의 아름다운 간판이 마을 풍경을 빛내고 있다는 데, 갑자기 쏫아지는 눈으로 다 둘러 보지 못함이

아쉬움을 남습니다. 간판뿐만 아니라 마을 빈 벽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다는 데...

왠지 60~70년대로 돌아간 것 같은 상점의 간판들이 시간을 거슬러 가는 듯한 느낌을 주네요^^

한적한 시골이라 그런지 사람 보기 어렵네요~

슈퍼 간판을 보니 그냥 들어 가고 싶은 마음이 가득합니다 ㅎㅎㅎ

진안 원촌마을 간판은 옆집이랑 닮은 듯 다른 듯 자연스레 어우러져서 그런지 더 정감이 가네요.

우째 오늘은 휴업하는 겨?  고장난 자전거는 어쩌라구~

어떻게 보면 이 간판 때문에 방문하게 된 것 같습니다~

어느덧 가게보다 간판이 더 유명해진 ‘흰구름마을’을 총총걸음으로 둘러 보게 되었네요^^.

원촌마을 간판은 ‘궁서체’라는 큰 틀 안에서 통일성을 주고, 가게 주인장의 손 글씨를 본떠서

조금씩 변화를 주며 개성을 살렸다고 합니다.

한적하고 조용한 마을에 외지인들이 작은 재미를 주어 마을에 사람들이 방문하길 원하는 건 아닐까요?

여행을 다니다 보면 시골의 빈집들이 늘어 나는 걸 실감하게 되는 데, 이런 변화를 통해 사람들이 찾는 다면

조금 더 살맛이 나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