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환수해 공개되는 인장 9과는 ▲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만든 국새 ‘황제지보(皇帝之寶)’
▲ 순종이 고종에게 존호를 올리면서 만든 어보 ‘수강태황제보(壽康太皇帝寶)’
대한제국 황실과 조선 왕실의 것입니다.

이는 대한제국 시기 황제국의 위엄을 널리 알리고, 자주적인 국가를 세우고자 노력했던
당시의 노력이 담겨 있는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이외에도 헌종(憲宗, 1827~1849년)이
개인적으로 수집하여 사용하였던 조선왕실의 사인(私印)인 ‘보소당(寶蘇堂)의 인장’ 등도
함께 환수돼 공개되었습니다.

6·25전쟁 때 미군이 덕수궁에서 국새와 어보 등 11점을 무단으로 반출해 간 사실을 밝혀내고
대한민국 문화재청과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의 공조 끝에 지난해 압수한 것이라 합니다.
문화재청 등 정부기관과 양국 국회의원, 국내외 민간단체 등의 노력으로 애초 반환 시기보다
2개월 정도 앞당겼으며, 반환 시기는 미국 버락 오바마(Barack Hussein Obama Ⅱ) 대통령의
한국 방문 일정에 맞추어서, 인장 9과를 넘겨받아 반환 절차가 마무리됐다.

문화재청은 “이번 특별전이, 격동의 시기에 불행하게도 불법 반출됐지만 한․미 양국 정부의 공조를 통해

고국으로 돌아오게 된, 우리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마음 깊이 새길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하며,

'한 미 문화재환수협력각서' 체결을 통해 앞으로 더욱 많은 문화재가 환수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황제지보(皇帝之寶)’Seal of the Emperor1897년 대한제국의 성립을 계기로 고종황제의 자주독립 의지를

상징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대한제국 국새며, 우리나라의 국가적 존엄과 국민 자긍심을 상징한다.

   대한제국大韓帝國1897(광무 원년)

   황제지보皇帝之寶는 교명敎命, 교서敎書, 교지敎旨에 날인捺印 인장으로 황제국皇帝國임을 천명한

   대한제국 선포 이후부터 국새로 사용되었다. 황제지보는 훈기勳記[훈장 서훈敍勳 사유]와 친임관칙지

   親任官勅旨[국왕이 관리를 직접 임명하면서 내린 칙명勅命] 으로 제작되었다.


나라가 어수선하거나 힘이 없으면, 소중한 우리 유산도 그렇게 쉽게 사라져 버리고,

되찾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겠더군요~

<발해>에서는 연해주 각지의 중요 지역에 위치한 평지성과 무덤, 불교 사찰 등에서 출토된 그릇받침·석불상·금동보살상·뒤꽂이장식·주사위·구멍토기 등 다양한 유물이 선보인다. 또한 중국 당나라 고위관직의 신분증으로 사용되었던 물고기모양의 청동부절(靑銅符節)과 통일신라와의 교섭관계를 보여주는 울릉도 천부동 출토 네귀달린 항아리와 같이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유물도 전시된다.

물고기모양의 청동부절(靑銅符節)과 다양한 토제품들

우리의 역사속에서 버려진 소중한 발해의 역사를 다시 상기하는 시간이 되네요~

막연하게 알고 있는 금·동하의 역사적인 유물들도 볼 수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7장 <금·동하>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와 동하국과 관련된 각종 불상·청동거울·도자기·무기류·수공업 관련 도구·저울·기와·용머리모양 건축장식 등 전시하며, 금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만든‘여진문자’를 소개한다.

<금·동하>에서는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와 동하국과 관련된 각종 불상·청동거울·도자기·무기류·수공업 관련 도구·저울·기와·용머리모양 건축장식 등을 전시하며, 금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만든‘여진문자’를 소개한다.

제8장 <연해주의 민족사>

연해주의 원주민인 우데게인·나나이인·니브히·울치 등이 사용하였던 생활용품과 의상, 사냥도구 그리고

전통적 종교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함으로써 지금은 거의 사라져 가는 고아시아인들의 잔영을 엿볼 수 있다.

제9장 <러시아 연해주의 근현대사> 러시아의 전통의상을 직접 입어보고, 러시아를 대표하는

목각인형 마트료시카만져볼 수 있는 체험코너도 있습니다.

이번 러시아연해주 문물전은 우리의 옛 역사를 뒤돌아 보게 하는 소중한 시간이니 꼭 보러 오세요~~

‘프리모리예’는 러시아어로 연해주를 가리키며, 이번 전시에서는 두만강을 끼고
연해주와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던 함경북도의 유물과 연해주지역과 한반도의
교류관계를 알려주는 유물을 포함하여 총 612점의 유물을 10개 장으로 나누어 구성되었습니다.

- 전시기간 : 2014. 9. 16(화) ~ 2014. 11. 16(일) 【 62일간 】
  - 전시내용 : 러시아 연해주의 선사시대에서 현대까지의 역사와 문화 관련 유물 612점
  - 장    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부산에서 처음으로 전시되는 러시아 연해주의 유물을 통해 발해를 비롯하여 옥저・읍루・말갈・여진

잊혀져가는 북방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 번 고취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러시아 연해주의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역사와 어떻게 구체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 부산시립박물관 전시안내

제1장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 초기>에서는 먼저 연해주에 처음으로 살기 시작한 사람들이 남긴 석기인

우스티노프카1과 4유적에서 출토된 돌날과 좀돌날로 만든 석기가 전시된다. 다음으로 약 1만 년 전에 만들어진 연해주에서 가장 오래된 토기를 소개한다. 이 토기는 아무르강유역 오시포프카유적, 우리나라 제주

고산리유적 등 동북아시아 각 지역에서 출토되는 가장 오래된 토기들과 비교되는 자료이다.

유물들이 대부분 비슷하기도 했지만 조금 다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제2장 <신석기시대>에서는 보이스만2유적에서 출토된 결합식 작살과 쵸르토비 보로타유적의 화살대 연마

기 등을 통해 어로와 수렵의 다양한 기술과 지혜를 보여주며, 백두산에서 획득한 흑요석으로 만든 돌검

[石劍]과 이 지역의 특징적인 번개무늬토기를 전시한다. 특히 강원도 고성 문암리에서 출토된 연해주 보이스만문화의 유물을 같이 전시하여 신석기시대 당시의 연해주와 한반도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준다.

  ▷ 제3장 <청동시시대-초기 철기시대>에서는 신석기시대 후기에 시작된 농경이 안정적으로 발달하는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특이한 형태의 토우와,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한 유물이 출토되고 있는

무기모양 석기, 그리고 장식 뼈제품 등을 전시한다.

국사책에서 한두줄 나오는 북방지역의 옛나라들의 유물들이라 더욱 새롭게 느껴집니다.^^

제4장 <옥저-읍루>에서는 철기의 보급에 따른 사회변화를 배경으로 성립된 정치체 또는 소국 중 중국의

역사서인『위지』동이전의 옥저와 읍루로 추정되는 크로우노프카문화, 폴체문화의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며, 우리나라와 러시아 학계에서 크로우노프카문화와 관련있다고 이야기되는 중도식토기도 소개한다.

제5장 <말갈>에서는 나중에 발해의 기층민이 되는 말갈이 남긴 토기, 무기류, 장신구와 허리띠장식 등을

전시한다.

드라마 대조영의 더욱 잘 알려지고 중국동북 공정으로 더욱 문제가 되는 우리 역사의 한페이지 발해~

제6장 <발해>에서는 연해주 각지의 중요 지역에 위치한 평지성과 무덤, 불교 사찰 등에서 출토된 그릇받침·석불상·금동보살상·뒤꽂이장식·주사위·구멍토기 등 다양한 유물이 선보인다. 또한 중국 당나라 고위관직의 신분증으로 사용되었던 물고기모양의 청동부절(靑銅符節)과 통일신라와의 교섭관계를 보여주는
울릉도 천부동 출토 네귀달린 항아리와 같이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유물도 전시된다.

독특한 북방의 유물들이 상상력을 더욱 발휘하게 해 주더군요~

대부분 너무나 작은 유물들이지만 그 섬세함에 감탄이 나오기도 하네요^^

이런 전시를 통해 우리의 잊혀져가는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되니 꼭 봐야 될 것 같습니다.

부산박물관은 부산박물관과 타이완 국립역사박물관의 문화교류 35주년을 기념하고
문화교류를 확대하기 기획전시실에서 ‘포모사 : 타이완 문화'전 합니다.

포모사 Formosa 는 ’아름다운 섬‘을 뜻하는 포르투갈어로 타이완을 일컫는 말이라 하네요^^

이번 전시에 출품되는 유물은 아름다운 자수품과 공예품을 비롯해 타이완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유산 201점으로 모두 타이완 국립역사박물관에서 대여받았습니다.

이번 전시는 12월 1일까지 총 48일간한다고 하니 아직 시간이 있죠~

국내에서 다른 나라의 유물을 볼 기회가 많지 않은데 이번에 타이완 문화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