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7~9월에 피고 약간 습기가 있는 들판이나 

밭둑에서 잘 자라며 분포지는 아시아 동북부 온대지역에서 아열대 입니다.  꽃말 : 강한 자제력, 자랑

무릇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cm이다.

땅속에 길이 2∼3cm의 달걀모양의 둥근 형태의 비늘줄기가 있고, 잎은 봄과 가을에 2개씩 나온다.

꽃은 7∼9월에 피고 길이 20∼50cm의 꽃줄기가 나와 끝에 길이 4∼7cm의 총상꽃차례가 발달한다. 

꽃은 연한 홍자색이고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각각 6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타원형이고 잔털이 3줄로 돋아 있다.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4mm이다.

비늘줄기와 어린 잎을 엿처럼 오랫동안 조려서 먹으며, 구황식물(救荒植物)의 하나이다. 

뿌리를 구충제로 사용한다.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무릇(for. alba)이라고 한다.

무릇의 효능 : 무릇은 식용식물이면서 약용식물이며 구황식물이기도 합니다.

무릇의 생약명으로는 면조아(綿棗兒), 천산(天蒜), 지조(地棗), 지란(地蘭).

무릇은 알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꽃이 피기전인 초여름에 굴취하여 햇빛에 말려서 사용하는데 생으로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구황식물(救荒植物).보릿고개의 유래

구황식물. 보릿고개는 흉년이 들어 굶주림이 심할때 농작물 대신 먹을수 있는 야생식물, 피, 아카시아, 쑥, 

소나무 등으로 조선시대에서는 국가에서 백성들의 기근을 해결하고자 구황식물을 개발하여 백성들에게 

알렸다고 합니다. 특히 봄철에 먹을것이 귀할때라 봄에 나는 나물종류는 거의 다 먹었다고 보면 되겠네요.

이때가 보리가 익어가는 때라 하여 보릿고개란 말이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둥근잎유홍초는 능조도라고도 하는 꽃으로,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의 꽃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월에 익으며 꽃받침이 남아 있다. 유홍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출처] 두산백과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원예농가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에서는 1920년경부터 관상용으로 뜰에 심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종 변비, 치질, 충적복통에 효과가 있다.

 꽃도 하늘을 향하고, 줄기도 하늘을 향하고, 이파리도 하늘을 바라봅니다.


나도사프란[나도사푸란] Crocus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멕시코 원산이다. 

붓꽃과에 속하는 사프란과 비슷하다고 나도사프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월동은 흰색은 우리나라 전역이 월동가능하지만 
그외품종은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를 제외한지역에서는 노지월동이 힘들다합니다.

꽃말은  "기대"








털뻐꾹나리  Korean toad lily   꽃말 '당당'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다.  9~10월에 개화

우리나라 중부지방 이남의 산 숲속에 자생한다.

뻐꾹나리는 백합과에 속하는 ‘나리’지만 참나리나 땅나리처럼 백합속 식물은 아니다. 
동아시아와 인도에 20여 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분포하는 단 하나, 뻐꾹나리속 식물이다. 

뻐꾹나리는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며 분포지역은 많으나 개체수가 적어 희귀식물에 속한다. 

50cm의 아담한 키에 밀생하듯 작은 군락을 이루며, 꽃모양이 특이해서 누구나 좋아할만한 야생화이다. 

뻐국나리는 약초로서 용도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는 데, 오이 맛이 나는 어린 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중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고 있다.

뻐꾹나리는 꽃 모양 뿐만 아니라 색도 특이한데, 

이 색이 여름철새인 뻐꾸기의 앞가슴 쪽 무늬와 닮았다고 해서 뻐꾹나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백합의 순 우리말인 나리와 뻐꾸기의 색을 닮은 꽃,  

뻐꾹나리가 필 때면 여름철새인 뻐꾸기도 짝을 찾기 위해 쉼 없이 울어댄다




가끔은

                                - 서정윤


가끔은 멀리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내가 그대 속에 빠져

그대를 잃어버렸을 때

나는 그대를 찾기에 지쳐 있다.

하나는 이미 둘을 포함하고

둘이 되면 비로소

열림과 닫힘이 생긴다.

내가 그대 속에서 움직이면

서로를 느낄 수는 있어도

그대가 어디에서 나를 보고 있는지

알지 못해 허둥댄다.

이제 나는 그대를 벗어나

저만큼 서서 보고 있다.

가끔은 멀리서 바라보는 것도 좋다.







가을울금(크루크마아로마티카) 가을에 흰 꽃을 피워서 가을울금이라고 불리웁니다. 

보통 우콘이라 말하면 이 가을우콘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요 효능은 간장보호입니다.
커큐민-크루크 다른 울금에 비하여 함양이 굉장히 풍부합니다.

강황은 봄에 보라색꽃이피고 울금은 가을에 흰꽃이 핍니다.

강황은 노란색소인 커큐민이 0.3프로가 있고 울금은 커큐민이 3프로가 있다 합니다.

봄울금에는 약간 매운맛과 쓴맛, 가을울금에는 쓴맛, 카레가루의 원료로 이용된 것은 가을울금입니다.

울금꽃은 대부분 9월 중순에 피어 10월 초순까지 핍니다.


독활(Araliacontinentalis Kitag.)은 오갈피나무과(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다. 

두릅나무과는 주로 열대에 55속 700여 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8속 14종이 분포되어 있다. 

이 식물은 줄기가 곧게 자라고 바람에 잘 흔들리지 않는다 하여 독활(獨活)이라고 부른다. 

구안독활(九眼獨活)은 매년 줄기가 죽어 없어지는 과정에서 6~9개의 비교적 크고 둥근 움푹한 자리가 

즉 줄기 흔적이 마치 눈이 여러개 박힌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은 독활[獨活], 독요초[獨搖草], 독활[獨滑], 장생초[長生草], 따두릅, 뫼두릅, 멧두릅, 

토당귀, 땅두릅나물, 풀두릅, 인삼나무껍질 등으로 부른다. 





 금불초  국화과[菊花科 : Asteraceae/Compositae] 선복화(旋覆花)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습기가 있는 도랑 부근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있고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1mm 정도이며

담황색으로 3mm 정도의 센털 모양관모가 있습니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식용이 가능하며

 꽃은 한약으로 쓰이는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맵고 짜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고 합니다.

기관지,항경련,이뇨,살균 등의 효능이 있으며 건위,진정 등의 효과가 있어 감기로 인한 기침이나 가래,

천식, 담으로 인한 흉격비만,흉협통,심하비경,만성기관지염,급성늑막염,입덧,유암,구토,트림,딸꾹질 등 

치료에 좋다고 합니다.


노란꽃이 무리지어 피는 모습이 마치 부처님의 온화한 웃음 같아서 금불초(金佛草)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