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미역취는 국화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가 있으며, 줄기는 높이 100~250㎝로 단단하고, 길며

거친 털이 있고 줄기 위쪽에서 많은 가지를 낸다. 9~10월에 가지마다 작고 노란꽃이 무리지어 꽃밭을 이룬다.
북미 원산으로 북미에서는 플로리다에서 북위 65℃의 캐나다서부와 알라스카에서도 자란다.

유럽에서는 관상화로 18세기에 도입되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널리 확산된 유해 잡초다. 

생태교란식물로 낙인찍힌 후에 양미역취는 미움을 받기도 한다. 양미역취의 독성과 꽃가루 알레르기는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였다. 꽃이 가득 피는시기에 단풍잎 돼지풀과 같은 꽃가루 알레르기와 혼동되기 쉬우나 양미역취의 꽃가루는 대부분 알레르기와 무관한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한편 양미역취는 미역취 보다 조금 더 늦게 꽃을 피우기 때문에 곤충들의 식량창고 구실을 하기도 한다. 아무리 꽃이라지만 큰 키와 강한 번식력 탓에 동,서양에서 미움받는 꽃으로 취급받는 것이 양미역취의 타고난 숙명인 것 같다.


가을

                                     - 김용택
가을입니다
해질녁 먼 들 어스름이
내 눈 안에 들어섰습니다
윗녘 아랫녘 온 들녘이
모두 샛노랗게 눈물겹습니다
말로 글로 다할 수 없는
내 가슴속의 눈물겨운 인정과
사랑의 정감들을
당신은 아시는지요

해 지는 풀섶에서 우는
풀벌레들 울음소리 따라
길이 살아나고
먼 들 끝에서 살아나는
불빛을 찾았습니다
내가 가고 해가 가고 꽃이 피는
작은 흙길에서
저녁 이슬들이 내 발등을 적시는
이 아름다운 가을 서정을
당신께 드립니다 




다년초로 키는 1~1.5m 정도 자라며, 뿌리잎은 모여 나는데 꽃이 필 때 시들고, 줄기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미역취, 돼지나물, 자원, 들개미취, 애기개미취, 소판, 협판채, 산백채, 자완, 자와, 개미취(북한), 자왼(북한) (이)라고도 한다.

꽃은 7~10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둥근 원 모양이며 꽃 잎은 3줄로 배열하며 꽃의 색깔은 장소에 따라

진하기도 하고 연하기도 하다. 열매는 표면에 털이 있고 10~11월에 익는다.

관상용,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항암성이 있으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뿌리와 풀 전체를 토혈, 천식,

폐결핵성 기침, 가래삭임, 만성기관지염, 이뇨 등에 처방한다.


부지깽이나물은 섬쑥부쟁이를 부르는 울릉도의 방언인데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부지기아초(不知飢餓草)"에서 부지깽이나물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하고,

국화과에 속하며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부지깽이나물은 독특한 향취가 있어서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또 식용유에 튀겨 부각으로도 만들어 먹는다.

섬쑥부쟁이, 부지깽이나물의 특성
부지깽이나물은 키높이가 50∼150cm 정도이고,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데 8월에서 9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이 핀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긴타원형의 잎은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13~19㎝, 너비가 4~6㎝이며 양면에 잔털이 드물게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10월경에 열매가 익는다.

섬쑥부쟁이, 부지깽이나물의 효능
부지깽이나물은 주로 호흡기 기능을 보강하는데 가래를 삭이고 소염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침을 멈추고, 인후염이나 편도선염, 기관지염증을 가라앉혀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부지깽이나물로 헛갈려하는 십자화과의 당개는 강심작용과 이뇨작용이 있어서 심계항진과 부종에 사용하며 소화불량에도 복용하기도 한다.


백일홍(百日紅)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 높이는 50~90cm이고,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고 달걀처럼 생긴 길둥근 모양이다.

백일홍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풀로 6월에서 10월까지 피는 여름꽃으로 주로 풀꽃들이 씨로 번식하는 것처럼

백일홍도 씨를 심어 번식한답니다.

꽃이 100일 동안 핀다고 하여 백일초라고도 하는데, 백일홍은 원래 잡초였으나 여러 화훼가들이

개량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고 합니다.

꽃말 : 행복, 인연, 떠나간 님을 그리워하다, 떠나간 친구를 그리워하다

♣ 백일홍에 관한 전설
옛날 어떤 어촌에서 목이 셋이나 되는 이무기에게 해마다 처녀를 제물로 바치고 있었습니다. 어느 해에도 한 처녀의 차례가 되어 모두 슬픔에 빠져 있는데 어디선가 용사가 나타나 자신이 이무기를 처치하겠다고 자원하였습니다. 처녀로 가장하여 기다리던 용사는 이무기가 나타나자 달려들어 칼로 쳤으나 이무기는 목 하나만 잘린 채 도망갔습니다. 보은의 뜻으로 혼인을 청하는 처녀에게 용사는 지금 자신은 전쟁터에 나가는 길이니 100일만 기다리면 돌아오겠다고 약속하고 만약 흰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승리하여 생환하는 것이요, 붉은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패배하여 주검으로 돌아오는 줄 알라고 이르고 떠났습니다. 그 뒤 처녀는 100일이 되기를 기다리며 높은 산에 올라 수평선을 지켜보았습니다. 이윽고 수평선 위에 용사가 탄 배가 나타나 다가왔습니다. 그러나 그 배는 붉은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습니다. 처녀는 절망한 나머지 자결을 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용사가 다시 이무기와 싸워 그 피가 흰 깃발을 붉에 물들였던 것입니다. 그 뒤 처녀의 무덤에서 이름모를 꽃이 피어났는데 백일기도를 하던 처녀의 넋이 꽃으로 피었났다 하여 백일홍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인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천사의 나팔(Angel's Trumphet)은 가지과에 속하는 유독성 식물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며,

다투라와 브루그만시아를 일컫는다.

천사의나팔(Brugmansia suaveolens)은 가지과에 속하는 유독성 식물로 남미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엔젤트럼펫(Angel Trumphet)이라 흔히 부르며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유사한 독말풀((Datura) 종류가 꽃이 위를 향해 기울어져 피거나 똑바로 피는 데 비해 천사의나팔(Brugmansia)

종류는 나팔모양의 꽃이 종처럼 아래를 향해 주렁주렁 달린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털이 없으며 어긋나게 붙는다.

 꽃은 나팔모양으로 노란색, 흰색, 핑크색 등이 있으며 길이 20∼30cm 정도로 크다.

아래를 향해 늘어져서 달리며 향기가 있다.

꽃받침은 원통상으로 길고 끝은 5갈래로 뾰족하게 갈라진다. 과실은 긴 난형이고 15cm정도로 길다.

천사의나팔은 남미 인디언 문화에서 전통적으로 의약 용도나 주술용 환각제, 때로는 독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의약 용도로는 외부에 발라 피부염, 고환염, 관절염, 류마티즘, 두통, 화상 등의 증상에 진통제나 소독제로 사용되었다. 내복의 경우는 종종 아주 묽게 하여 소염제, 구토유발제, 벌레나 기생충 퇴치, 진정제로 이용되었다.
농축하거나 정제한 것은 암살 등의 행위에 이용되었다.


하수오(Fallopia multiflora)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재배하나 야생화한 것이 드물게 비탈진 풀숲에 자라기도 한다. 땅속으로 뿌리줄기가 벋어가면서 고구마 같은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줄기는 갈라져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과 줄기, 덩이뿌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잎은 덖어서 차로 마신다. 대개 덩이뿌리는 술에 6개월 이상 담가

숙성해 마신다. 잎과 줄기, 덩이뿌리를 잘라 설탕과 버무려 효소를 담가도 된다.


 Pink muhly grass 핑크 억새라고도 불리는 핑크뮬리의

학명은 뮬렌베르기아 카필라리스(Muhlenbergia capillaris)의 라틴어로 `모발 같은'이란 뜻을 가진다고 함

 Purple muhly grass, Pink muhly, Hair grass, Gulf muhly, Long-awn hairgrass, Muhly grass, Hairy-awn muhly
 '분홍 쥐꼬리새' 또는 '쥐꼬리새 카피라리스'라고도 불림.  학명:Muhlenbergia capillaris.뮬렌베르기아 카필라리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