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용두산공원이 화폭속에 가득 담겨져 있네요^^

용두산은 조선시대에 초량소산(草梁小山), 송현산(松峴山)으로 일컬어졌고, 1876년 부산항 개항 후에는 

'소산(小山 )' '중산(中山)' 등으로 불렸다. 용두산이란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78년 일본 자료인 조선귀호여록(朝鮮歸好餘錄)에서다. 그후 1899년 산정에 신사를 크게 지어 '용두산신사'라 칭하면서 용두산이란 

이름이 통용됐다.

개항 후 일제는 초량왜관 일대를 일본인 전관거류지로 바꾸고, 대륙 침략의 교두보로 삼는다. 그리고 1916년 용두산 일대 1만2000여 평을 공원 용지로 책정하고 시설을 늘린다. 그후 용두산은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의 호를 딴 우남공원으로 불렸고, 1960년 4·19혁명 이후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환원됐다.

용두산 변천사를 연구해 온 한국해양대 김승(국제해양문제연구소) 교수는 "용두목, 용머리, 용소 등이 말하듯 용 문화는 원래 한국에 있던 것"이라며 "개항 후 일본인들이 용두산이란 이름을 처음 쓴 것은 맞지만, 단선적으로 대륙침략 풍수로 규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오히려 그는 "용두산은 이름 자체가 이미 역사가 된 만큼 이런저런 다양한 해석을 허용해 자체 콘텐츠를 풍성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공동기획: (사)부산스토리텔링협의회, 부산 중구, 국제신문


낙엽

                                  - 이해인

낙엽은 나에게 살아 있는 고마움을 새롭게 해주고,

주어진 시간들을 얼마나 알뜰하게 써야 할지 깨우쳐준다.

낙엽은 나에게 날마다 죽음을 예비하며 살라고 넌지시 일러준다.

이승의 큰 가지 끝에서 내가 한 장 낙엽으로 떨어져

누울 날은 언제일까 헤아려 보게 한다.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내 사랑의 나무에서 날마다 조금씩 떨어져나가는

나의 시간들을 좀더 의식하고 살아야겠다. 



'보래구름 > 초록&열매&동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마음   (0) 2016.11.27
담장의 덩굴이라는 의미로 담쟁이덩굴  (0) 2016.11.15
화려한 단풍의 유혹  (0) 2016.11.11
단풍의 이유  (0) 2016.11.10
숨은 그림 찾기? - 동박새  (0) 2016.11.08

통도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의 하나여서 전국의 많은 관광객들이 해마다 계절마다 들르는 곳입니다.

조금 더 있으면 더 고운 단풍이 맞이해 주련지...

그래도 이런 은은한 색감이 아련함을 주는 것 같아 분위기는 더 좋은 것 같기도 하네요^^







익어가는 가을 

                                                    - 이해인

꽃이 진자리마다

열매가 익어가네


시간이 흐를수록 

우리도 익어가네


익어가는 날들은 

행복하여라


말이 필요없는

고요한기도


가을엔 너도나도

익어서 사랑이 되네


온갖 형형색색으로 물들어가는 나뭇잎과 풍경들이 마음을 사로잡는 계절의 산사

조금 늦은 가을이 남녁의 산사에 찾아 옵니다.

지난 태풍으로 사라져 버린 돌다리가 더욱 아쉽네요~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 혹은 꺽는다는 뜻의 절자를 써서 구절초라고 한다.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구절초九節草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약효가 좋은 음력 9월 9일 즈음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옛날에 시집온 한 여인이 있었는데 불행히도 아이가 생기지 않았다. 온갖 방법을 다하여 아이를 가지려고 무던히도 노력을 하였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실망과 근심에 가득한 여인에게 어느 스님이 찾아와 한 사찰을 일러 주며 거기에 가서 치성을 드리라고 했다. 사찰에 도착을 한 여인은 지극정성으로 치성을 드리면서 사찰 내에 있는 약수로 밥을 해 먹으면서 또한 사찰주변에 활짝 핀 구절초를 달인 차를 마시면서 그렇게 세월이 흘렀는데 여인의 지극정성으로 올리는 치성에 하늘도 감동을 하였는지 이 여인은 아이를 가지게 되었다.

이 소문에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전국 곳곳의 아이를 가지지 못하던 여인들이 이 사찰로 와서 약수에 밥을 해 먹으며 구절초를 달인 차를 마시고 역시 아이를 가지게 되었고 이런 소문이 퍼지면서 구절초를 선모초(仙母草) 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가고 싶은 곳이기도 한 반곡지 가을바람 쐬러 경산으로 향했습니다.  반곡지는 경산시 남산면에 있습니다.

두시간이 조금 안걸리는 곳인데 작은 저수지라는 걸 미리 알고 온게 조금 실망이 적었다고나 할까요? ㅎㅎ

흐린 날이라 아쉽지만 그래도 멋진 반영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조금 더 단풍이 들면 멋지겠죠?

반곡지는 못 둑에 늘어선 100년 이상의 왕버들과 4월 초부터 피기 시작하는 복사꽃, 주변 야산 등이 저수지에 비춰 연출하는 반영(反影)과 일교차가 심한 봄 가을 물안개가 필 때 일출이 장관이라 하니 언젠가? ㅎㅎㅎ

이 가을이 가기전에 한번 더 오고 싶은 곳이기도 합니다. 그 때는 물안개도  볼 수 있으려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