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입니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에는 현재 넓이의 3배에 달하는 큰 궁궐이었다고 하는 데,

현재 18,635평의 경내에 남아 있는 것은
대한문, 중화전, 광명문,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함녕전, 덕홍전 및 석조전 등에 불과합니다.

석어당(昔御堂)은 궁전에 지어진 건물 중 전각을 제외한 유일한 이층집입니다.
1904년(광무 8년) 화재 후 중건하였고, 원래의 건물은 석어당은 선조 26년(1593년) 창건했으며,

한때 인목대비가 유폐되었던 곳이며, 역대 국왕들이 임진왜란 때의 어렵던 일을 회상하며 선조(宣祖)를

추모하던 곳이기도 합니다.

석어당은 정면 8칸, 측면 3칸이고, 위층이 정면 6칸, 측면 1칸인 굴도리집 우진각지붕입니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서쪽 끝의 칸에 설치되었고, 2층은 칸막이 없이 넓은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사방에 창을 내었다. 궁내 건물임에도 단청을 하지 않아 가식이 없고 검소하며 소박하여 친근감을 줍니다.

중화전의 뒷태도 멋지네요^^

다른 궁궐과 달리 근대화 정책의 노력으로 1910년 고종 황제의 침전 겸 편전으로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

만들었다.  순종이 황제가 된 후 일본은 1920년부터 덕수궁을 매각하거나 철거하여 원형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훼손 되었다.  최근에 덕수궁 장기 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건물들을 복원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현대미술관 소속의 국립미술관인 덕수궁 미술관

보통 덕수궁미술관은 석조전 서관을 말합니다.
서관은 동관이 완공된 지 27년 뒤인 1937년 이왕직박물관(李王職博物館)으로 개관했으며,
미술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건축물입니다. [출처 : Visit Seoul]

기둥 부분은 이오니아식, 건물 내부는 로코코풍으로 18세기 신고전주의 유럽 건축 양식이라 합니다.

중화전(中和殿)은 덕수궁의 정전(正殿)이다. 보물 819호로 지정되었고, 중화전이 세워진 월대는 상·하월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월대는 3단으로 되어 있다.  1902년에 처음 세워졌을 때는 본래 중층이었으나 1904년 화재로 1906년에 단층으로 다시 지었다.  투각곡병과 일월오악그림 병풍 앞에 어좌가 놓이고, 돌마당에는 문무백관의 지위와 위치를 나타낸 품계석이 세워져 있다.  원래 중화전 주변으로 회랑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었으며 현재 중화문 동쪽에 일부가 남아 있다. [위키백과] 

다시 방문하게 되면 더 여유롭게 덕수궁 돌담길도 걸어 보고 다양한 모습도 담고 싶네요^^

짧은 시간에 많은 곳을 둘러 보려고 하니 전시도 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네요~  언제 또 오겠죠 ㅎㅎㅎ


서울특별시청서울特別市廳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특별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입니다.

옛 서울시청사가  서울도서관으로 활용되는 군요^^  시간이 되면 책 좀 읽고 가련만~

서울시청의 과거와 현재를 이렇게 꾸며 보았습니다^^


기원전 18년부터 475년까지 백제의 수도였고, 1394년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로
대한민국 정부중앙청사 소재지가 되기까지 600년 이상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습니다.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최대 도시이자 수도입니다.

신 청사의 내부을 정말 보고 싶었는 데 이번에 원을 풀게 되었네요? ㅎㅎ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유리건물이 자연과 함께하는 모습을 보니 일단 보기는 좋습니다^^

일요일이라 여유로워 사진을 마음 껏 찍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서울의 상징 '해치' 캐릭터는 서울의 600년 문화역사와 함께한 상상의 동물 '해치'를
형상화한것으로서  정의와 안전을 지켜주고 꿈과 희망, 행복을 가져다 주는 해치의
전통적 의미와 맑고 매력있는 세계도시 '서울'의 비전을 전달하는 새로운 상징으로 탄생되었다.

서울 시민들 위한 멋진 행정을 펼치는 박원순 시장님 좋아하는 정치인 중에 한사람입니다 ㅎㅎㅎ

세월호의 아픔이 이렇게 지속되고 있다는 오늘이 더욱 안타깝기만 합니다.

시청 잔디광장에서 모단체의 행사가 있었지만 시간으로도, 약으로도 치료가 안되는 게 있죠 ㅠㅠ

인터넷 이미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문화역서울 284(구 서울역사)에서 9월 4일부터 10월 19일까지 기획전 –

전시의 주제인‘총천연색’은 완전한 자연 그대로의 색이라는 뜻으로,‘천연색’을 강조한 말입니다.
플라스틱으로 대변되는 이 시대의 인공물질 문명의 화려함이 실은 가장 자연적인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면에서 우리 시대 문화의 역설이기도 하고, 동시에 작가 특유의 화려한 조형적
다채로움과 즐거움을 드러내는 개념입니다. [인터넷 참조]

구 서울역사(사적 제284호)는 우리의 삶과 역사가 켜켜이 쌓인 근현대 문화유산인데,
2004년 KTX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전국 철도망의 중심이었습니다.
그러나 신역사가 들어서면서 역사로서의 기능을 상실했고, 아무도 찾지 않는 곳이 돼었지만,
2012년 4월 문화공간 '문화역서울 284'로 탈바꿈하면서 대중이 예술을 즐기는
역동적인 장소로 변모했네요^^

가물가물하던 서울 여행이 구 역사를 통해 더욱 정감있게 다가 오더군요~~

최정화 작가는 “인공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이를 다시 생명으로 재생시킨 것은  폐허에서 피어난 꽃들처럼 일상의 평범함과 비루함조차 아름다움으로 개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하네요~

자~  이제부터 즐거운 감상의 시간을 가져 볼 까요? ㅎㅎㅎ

사물은 언제 어디서나 그 쓰임과 형태를 유지하려 하겠지만 시간은 자꾸 변화을 요구하는 것 같습니다.

쪼매 당황스러웠던 전시물입니다~

작은 것도 크게 큰 것도 작게 보면 그 느낌이 다르게 보여집니다~

왠지 어수선함이 드는 전시라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즐겁게 감상하게 되더군요^^

모아 놓고 쌓아 놓고...

일상적인 사물들도 보여주기에 따라서 예술 작품이 되네요~

‘모으자 모이자! 플라스틱 뚜껑’ 캠페인은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재료인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흔하디흔했던 일상의 삶이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거듭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해외에서 더 유명한 작가 ‘최정화’는 ‘꽃의 만다라’라는 흥미로운 작품을 통해 작가만의 예술이 아닌
모두가 참여하는 예술의 의미를 ‘총천연색’ 빛깔로 화려하게 보여주고 있네요~

최정화 작가 소개
1961년생. 홍익대 서양화과 졸업. 현 가슴시각개발연구소 소장.
작가, 기획자, 아트디렉터, 프로듀서, 그래픽디자이너, 취미예술가, 인테리어디자이너, 공예가,
공공미술가, 설치예술가, 수집가 등등, ‘보이는 모든 것’을 디자인하고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가지고 예술 하는 작가로, 작가의 이러한 문화예술계를 종횡무진하는 전방위적 실천을 두고,
‘멀티플 최정화’라 부르기도 한다.

거의 모든 해외 비엔날레를 포함하여, 수많은 국내외 전시는 물론이고 일상,  취미를 포함한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삶의 곳곳에 최정화식 문화예술 바이러스를  전파하고 실천하는 작가 혹은 ‘1990년대 한국 현대미술 대표 아이콘’ 등으로 분류하는데, 1990년대와 2000년대 한국 동시대 현대미술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작가 중의 한명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출처 : 내 삶 가운데 예술을 만지다. '위드아트']

이번 서울 여행에서 우연히 드르게 된 '문화역서울284' 멋진 전시를 보아 너무나 좋았습니다~

한국4-H본부(서울)에서 주최하는 전국 학생4-H과제 발표대회에 참여하고 왔습니다.

그 동안 준비하고 노력했는 발표를 멋지게 해준 3총사에게 갈채를 보냅니다^^  애들에 수고 많이 했다~

* 나의 꿈 말하기 경진 대회 :김영은
* 4-H과제황동 연시경진 : 김민영
* 학교4-H 활동성과 발표 경진 : 박민서
 

부산 대표로 발표대회에 참가하게 되어 그 동안 많은 부담이 있었지만 너무나 성실하게 잘주어서

고맙습니다.

지난 1년 동안 활동을 요약해서 5분만에 발표한다는 건 쉽지 않더군요~

다들 어찌나 발표를 잘 하던지 많은 걸 배우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한국4-H본부 :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 48-1


 여성분들이 좋아 할만한 신발들이 가득 ㅎㅎㅎ

 “페라나칸 공예미술”로 페라나칸의 취향이 반영된 공예미술을 살펴본다. 페라나칸 공예미술의 발달에는 여성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여성들은 바느질 솜씨와 음식 솜씨를 갖춘 중국 전통에 부합하는 며느리감을 기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페라나칸의 여성들은 뛰어난 자수와 구슬 세공품을 많이 남겼다.

 

 특히 여성들의 공간인 주방에서 사용하는 도자 세트는 신부용으로 따로 주문 제작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페라나칸의 도자를 “뇨냐자기(nyonyaware)”라고 부르게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개요 참조]

 

 

 

 모자이크로 표현된 초상화가 인상적입니다^^

 “서구화된 엘리트 : 유럽의 영향”에서는 무역상이나 도시적인 사업가로 유럽 문화를 적극 수용했던 페라나칸의 모습을 살펴본다. 페라나칸은 영어를 배우고 서구식 복장을 했으며, 테니스나 크리켓 등 스포츠를 즐겼다. 서구식 주택을 지어 거주하고 유럽에서 제작된 자동차를 타고 다니며 새롭게 획득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표현했다.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는 방법 가운데 선호했던 것으로 초상화가 있다. 20세기 전반 싱가포르 사회의 저명 인사였던 송옹시앙 (Song ong Siang, 1871-1941)의 초상화에는 양복을 입고 훈장을 착용한 모습과 성경이 함께 그려져 있으며, 이는 서구 문화의 수용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했던 페라나칸의 모습이 반영된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싱가포르에 정착한 중국계 페라나칸 문화가 세계화된 싱가포르 사회에서 어떻게 융화되어 발전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문화의 편견 없는 수용은 다문화 사회를 맞이하는 우리 사회에 미래지향적인 메시지를 가져다 줄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개요 참조]

 

 싱가포르의 독특한 매력의  페라나칸(Peranakan) 문화
2013년 3월 19~ 5월 19일 까지  [참조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개요]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단어인 “페라나칸(Peranakan)”은 말레이어로 아이를 뜻하는 “아나크(anak)”에서 유래한 말로 해외에서 이주한 남성과 현지 여성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후손을 뜻한다. 오래 전부터 해상 무역이 발달했던 동남아시아에는 아랍인이나 인도인, 또는 유럽인들로 구성된 다양한 페라나칸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이 가운데 중국계 페라나칸이 다수를 점하고 있으며, 남성은 바바 baba, 기혼 여성은 뇨냐 nyonya라고 부른다.

“페라나칸의 혼례 : 중국의 영향”으로, 혼례 준비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혼례침실을 재현하여 소개한다.

중국의 영향을 받아 길상의 의미를 지닌 장신구로 꾸며진 혼례침실은 페라나칸 공예미술의 정수이자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한다.   [참조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개요]

 전시실 입구에 들어서면 “믈라카에서 온 신랑 신부”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신랑은 중국식 복장을 하고 신부는

자수와 구슬공예로 장식된 화려한 예복을 입고 있다. 12일간 거행되는 페라나칸 혼례의 첫 날 모습을 보여준다.

페라나칸은 말레이어로 '현지에서 태어난' 이라는 뜻으로 외국인 아버지와
현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후손을 말한다.

 중국적이면서도 조금 색다르고 독창적인 느낌이 들더군요^^

화려하면서고 섬세한 솜씨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감탄을 주더군요~

 

 “뇨냐의 패션 : 말레이의 영향”이다. 페라나칸 여성은 말레이 전통 복식인 사룽sarong과 케바야kebaya를 착용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케로상kerosang이라 불리는 화려한 보석 장신구로 장식했다. 사룽과 케바야는 페라나칸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복식으로 오늘날까지도 디자이너들에게 다양한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간 관계상 사진도 흔들리고 상세히 감상하지 못해 많이 아쉽더군요~

 

 

 

 

 

 

 

 

 

 세계평화의 문  평화의 문 ( 平和의門 , World Peace Gate )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소재한 올림픽 공원 의 입구에 세워진 문

 1988년 7월 건축가 김중업씨의 설계로 건립된 조형물로 한민족의 저력과 기량을
전 세계에 떨친 88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기 위해 “세계평화의 문”이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다

 

 

 

 

 

 공원 내에는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세계평화의 문', '서울의 만남', '영광의 벽'을
비롯해 초기 백제시대 유물이 전시된 몽촌역사관이 있으며, 66개국의 세계적인 현대조각·조형작가에
의해 제작된 200여 개의 조각이 전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