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재 마루에 마련된 ‘왕후의 방’에서는 전승 공예품과 궁중 장신구를 활용한 전시가 마련돼 있다.

왕후의 금보, 옥책, 교명 등을 활용한 조형물과 함께 궁중 장신구도 전시된다.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지어진 건물인데, 본래 이름은 낙선당이었으며, 창경궁에 속해 있었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입니다. 2012년 3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5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고종 황제도 이곳에서 지낸 바 있으며, 1917년 창덕궁에 큰 불이 났을 때 순종 황제도 내전 대신 낙선재에

머물렀다. 이곳은 황족들이 마지막을 보낸 곳으로 유명합니다. 마지막 황후인 순정효황후가 1966년까지

여기서 기거하다 숨졌으며, 1963년 고국으로 돌아온 영친왕과 그의 부인 이방자는 각각 1970년과 1989년

이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덕혜옹주 역시 어려운 삶을 보내다 1962년 낙선재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으며, 1989년 사망했습니다.

귀국 후에도 지병으로 많은 고생을 한 덕혜옹주. 그녀가 정신이 맑을 때 썼다는 낙서 한 장은
낙선재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조선황실의 마지막 모습을 잘 대변해 주고 있네요~

"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낙선재는 궁궐 내의 침전건축과는 달리 단청을 하지 않고 사대부주택형식으로 건축되었으나,
궁궐 침전형식이 응용되면서 다른 곳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문양의 장식이 특히 주목되며,
조선 후기 건축 장인(匠人)들의 축적된 기량을 엿볼 수 있어 건축적인 가치가 높다고합니다.
또한 조선왕가의 실제 침전으로 사용된 역사성도 중요한 건물입니다.

“궁궐지”에서는 창경궁에 속한 건물로 기록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창덕궁에서 들어가도록
되어있는 건물로 창덕궁의 동남쪽에 창경궁과 이웃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승정원 일기”와 낙선재 상량문에 헌종 13년(1847)에 건립된 것으로 기록된 건물로서
국상을 당한 왕 후와 후궁들이 거처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전하고 있다.

를 뒷 받침하는 예로 낙선재 바깥 뜰에 사각정이 있다.
4면에 亞자분합문 과 고창을 둔 것으로서 관을 발인할 때까지 두던 빈전이다.
일반의정자와는 그 용도가 크게 다른 건물이라 하겠다. [참조 : 궁궐길라잡이]

조선시대 국왕들 중에는 궁궐에서 태어나 세자나 왕자를 지낸 후 국왕에 즉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제로는 바깥 사저에서 태어나거나 어린시절을 보낸 후 왕위에 오른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국왕들은 어린시절 편안했던 느낌을 되살리기 위해 이궁(離宮)으로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궁궐을 지었는데, 창덕궁 연경당과 낙선재, 경복궁 건청궁이 대표적이다.

낙선재는 앞면 6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왼쪽에 돌출한 1칸이 초석 위에 놓여 누마루로 되어 있다.

누마루 뒤로는 온돌방 1칸을 두고, 대청2칸, 온돌방 2칸, 다락방 1칸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간소하게 지어졌지만, 문살과 장식등에서 궁궐 전각의 화려함이 남아 있네요^^

공연을 본다고 정신이 팔려 제대로 둘러 보지 못한 점이 아쉽지만 또 오면되죠 ㅎㅎㅎ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