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고궁에서 전통음악을 특별한 무대 없이 낙선재 전각에서 "낙선재 음악회"를 듣게 되었습니다.

'조선의 여인 정희왕후 이야기'를 주제로 배우 임성민씨가 전하는 스토리텔링은 정말 좋았습니다.

공연내 단아한 자세로 임하는 모습을 보니 너무나 훌륭했습니다.

실제 연예인을 보는 건 이번이 처음인데 정말 미소가 이쁘더군요 ㅎㅎㅎ

고궁에서 우리 음악듣기

궁중무용  "춘앵전"

아쟁산조 - 독주곡으로 창극이나 춤의 반주에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아쟁산조는 그 역사가 40~50년 밖에 되지 않는다. 아쟁은 본래 궁중음악에서 저음역을 담당하던

악기였는데, 창극과 민속무용의 반주에 사용하기 위해 본래 아쟁보다 작게 개량해 만든 것이 소아쟁이며,

아쟁 산조는 소아쟁으로 연주된다. 대략 1950년대에 들어 아쟁산조의 기틀이 확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재 민속예술가로 손꼽히는 한일섭(韓一燮)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출처 : 국립음악원]

판소리 심청가 심청이가 제수로 팔려 배를 타고 인당수로 가는 대목

<범피중류>는 판소리 다섯마당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대목으로 인식되어 있을 만큼 판소리의

기교적인 음악 어법이 망라되어 있어 심청가의 눈대목으로 꼽히고, 토막소리로 부를 때에

자주 선택되는 대표적인 레퍼토리라 합니다. [출처 : 한국민속문학사전에서]

연예인에 대한 관심이 없어 아나운서라 알고 있었는 데 연기자이기도 했더군요^^

자신의 꿈을 이루어 가는 아름다운 분이라 생각되어 지며, 앞으로 더욱 멋진 연기를 기대 봅니다~

배우 임성민씨 파이팅~~

태평무[太平舞]는 국가의 평안을 위해 추었던 한국 전통 무용인데, 일제 강점기에 한성준이 재구성했다.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무속장단에 맞추어 궁중 복식을 갖추고 태평성대를 나타내는 우아하고 화려한 민속춤인데,

의젓하면서 경쾌하고 , 가볍고도 섬세한 발 디딤새가 이 춤의 특징이라 합니다^^

후원을 보기 위해 기다리던 중 시간이 있어 들렀던 낙선재에서

 이런 공연을 본 것 만으로도 너무나 행복한 시간이였습니다.

조선 초기 섣달 그믐날, 즉 제야(除夜)의 나례(儺禮) 때 추던 장엄한 의식 절차로,

학무·연화대무·처용무의 3가지를 종합 연출한 춤이라 합니다.

전도(前度)에 처용무를 먼저 추고, 후도(後度)에 청학(靑鶴)과 백학(白鶴)이 나와 춤추다가 연꽃을 쪼아

두 동녀(童女)가 나오면 두 학이 놀라 나가고, 연화대를 춘 후에 다시 처용무를 춘다.

『악학궤범』 에 초입배열도(初入排列圖)와 처용무 오방작대도(五方作隊圖)와 의장(儀仗)을 든

전체 무원이 함께 도는 시종회무도(始終回舞圖)가 보인다.

1) 학무(鶴舞) :무용수가 각각 청학과 백학의 탈을 쓰고 추는 춤.
2) 연화대(蓮花臺) :고려때 들어온 당악 정재의 하나로 ‘석지무’ 라고도 함.
3) 처용무(處容舞) :조선 시대 궁중 정재 때 구나의(驅儺儀)의 뒤에 추는 향악무.

참조 : kocca 문화콘텐츠닷컴

궁중 음악과 무용을 처음 보게 되어 그 감동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우아함의 상징인 학이 춤추는 모습이라 합니다~

갑자기 연꽃이 터지면서 나타난 아름다운 동녀[童女]

연화대무[蓮花臺舞] - 고려 시대 들어온 당악 정재() 하나. 미신사() 내용 의하면,

동녀() 봉래()에서 내려와 연꽃술 생겨났다가 군왕() 덕화()

감격하여 가무()로써 즐거움 가져다주려 왔다 한다.  [다음 사전 참조]

화려하지만 절제된 아름다운 춤이더군요^^

처용무[處容舞] - 가면 무용 하나. 신라 헌강왕 처용 설화()에서 비롯된 이다.

궁중에서 나례 의식() 구나() 추던 으로, 처용의 무동()

각기 청색, 홍색, 황색, 흑색, 백색 입고 다섯 방위 벌여 서서 음악이나 노래 맞추어 추었다.

[다음 사전 참조]

시종회무도 [始終回舞圖]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