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거리나무 Daphniphyllum macropodum MIQUEL.

대극과의 굴거리나무는 일본, 중국, 대만및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전라북도의 내장산까지

분포하고 해발 200~1300m지역 산지D.수림(山地樹林)속에 자생(自生)합니다.

굴거리나무속 식물은 동아시아 남부에 약 25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 2종이 자라고 있습니다.

굴거리나무의 한자 이름은 우리와 중국, 일본모두 교양목(交讓木)입니다.

일본인들은 양엽(讓葉)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를 두고 이렇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새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제법 자리를 잡았다 싶으면 묵은 잎은 일제히 떨어져 버립니다.

마치 한 가정을 책임지고 있는 다 자란 자식에게 권리를 넘겨 버리고 은퇴하는 모습에 비유

할 수 있어서 이런 이름을 붙렸다”는 것입니다.

속명 교양목(交讓木), 교지목(交趾木), 산황수(山黃樹), 만병초(萬病草), 수홍박(水紅朴)

옛사람들은 굿판을 벌이는데 이 나무는 “굿거리”를 할 때 잘 쓰여서 굴거리나무가 된 것이 아닌가 짐작되기도 합니다.

일본인들은 정월초하룻날 새해를 맞이하면서 집안 을 장식할 때 굴거리나무 잎을 깐다고 합니다.

굴거리나무는 만병초의 잎과 비슷하여 예로부터 약재로 쓰이던 나무인데 잎 또는 열매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진통, 이뇨, 강정, 거풍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적용질환은 허리와 등이 저리고

아픈 증세, 관절통, 요통, 두통, 발기력감퇴, 불임증, 월경불순 구충, 늑막염이나 복막염 등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굴거리나무는 반 그늘 또는 그늘에서 성장하는 음지식물이지만 햇빛에서도 생장이 양호합니다.

토양은 비옥한 토양이 좋고 수분공급이 원활해야 합니다.

뿌리를 내리는 힘이 약하지만 꺾꽂이나 휘묻이로 번식이 용이하며, 이식을 잘 받기 때문에

화분에서 잘 자랍니다.

굴거리나무 & 굴거리      굴거리나무과 상록 활엽소교목        학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굴거리나무란 이름은 이 나무가 굿을 하는데 이용되어 굿거리나무가 굴거리나무로 변한 것이라는 설과
늙은 이파리가 고개 숙인 것처럼 보여 숙이고 산다는 의미의 굴거(屈居)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마치 인디언들의 머리 장식처럼 보이기도 하며, 새순과 꽃이 너무나 아름답게 보입니다^^

다른이름 : 교양목(交讓木)       영어이름 : Sloumi     일본이름 : ゆずりは(?り葉·?)

새 잎은 곧추서서 붙어 있고, 늙은 이파리는 고개를 숙이고 붙어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굴거리나무의 잎을 우리의 인생사와 비교하기도 합니다.

굴거리나무의 한자이름은 교양목(交讓木)입니다. 이는 새 잎이 난 후에 묵은 잎이 떨어져 나간 다는 뜻으로
일본이름 유즈리하[讓葉]도 마찬가지로 후손에게 물려주고 떠난다,
혹은 해가 바뀐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1월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깁니다.

우리나라에는 남해안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지는 굴거리나무의 자생 북방한계
지역이라는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나무나 사람이나 시간이 되면 다 떠나야 하니 현재의 삶에 충실한게 가장 행복이겠죠~

작은가지는 굵고 녹색이지만 어린가지는 붉은빛이 돈다.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가지 끝에 모여서
달리며 길이 12-20㎝이고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꽃은 1가화로 5-6월에 피는데 녹색이
돌고 꽃덮이가 없다. 또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2.5㎝ 정도의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 껍질을 습성 늑막염·복막염·이뇨에 쓰며,

민간에서는 끓인 즙을 구충제로 이용하며, 정원수로도 많이 심습니다~

모든 만물이 태어나고 죽는다지만 부주의에 의해 사고를 당한 많은 아이들의 비보에 슬픈 마음

금할 길 없습니다. 자식을 먼저 보내 부모의 심정은 그 어떤 말로도 위로가 안되겠지만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