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 섣달 그믐날, 즉 제야(除夜)의 나례(儺禮) 때 추던 장엄한 의식 절차로,

학무·연화대무·처용무의 3가지를 종합 연출한 춤이라 합니다.

전도(前度)에 처용무를 먼저 추고, 후도(後度)에 청학(靑鶴)과 백학(白鶴)이 나와 춤추다가 연꽃을 쪼아

두 동녀(童女)가 나오면 두 학이 놀라 나가고, 연화대를 춘 후에 다시 처용무를 춘다.

『악학궤범』 에 초입배열도(初入排列圖)와 처용무 오방작대도(五方作隊圖)와 의장(儀仗)을 든

전체 무원이 함께 도는 시종회무도(始終回舞圖)가 보인다.

1) 학무(鶴舞) :무용수가 각각 청학과 백학의 탈을 쓰고 추는 춤.
2) 연화대(蓮花臺) :고려때 들어온 당악 정재의 하나로 ‘석지무’ 라고도 함.
3) 처용무(處容舞) :조선 시대 궁중 정재 때 구나의(驅儺儀)의 뒤에 추는 향악무.

참조 : kocca 문화콘텐츠닷컴

궁중 음악과 무용을 처음 보게 되어 그 감동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우아함의 상징인 학이 춤추는 모습이라 합니다~

갑자기 연꽃이 터지면서 나타난 아름다운 동녀[童女]

연화대무[蓮花臺舞] - 고려 시대 들어온 당악 정재() 하나. 미신사() 내용 의하면,

동녀() 봉래()에서 내려와 연꽃술 생겨났다가 군왕() 덕화()

감격하여 가무()로써 즐거움 가져다주려 왔다 한다.  [다음 사전 참조]

화려하지만 절제된 아름다운 춤이더군요^^

처용무[處容舞] - 가면 무용 하나. 신라 헌강왕 처용 설화()에서 비롯된 이다.

궁중에서 나례 의식() 구나() 추던 으로, 처용의 무동()

각기 청색, 홍색, 황색, 흑색, 백색 입고 다섯 방위 벌여 서서 음악이나 노래 맞추어 추었다.

[다음 사전 참조]

시종회무도 [始終回舞圖]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