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사 서쪽 산등성이에 누워있는 와불은 누워있는 부처를 말하지만 운주사 와불은 누워있는 게 아니라 일어나지 못한 불이다. 와불은 세분이었다. 한 와불은 홀연히 일어나 와불 절벽 밑에서 머슴부처가 되었다고 한다.

기존의 불상과 탑의 양식을 따를 필요도 없다. 토속적이기도 하고 이국적이며 이색적일 수 있다. 자유분방하고

창조적이기도 하다. 탑에 새긴 무늬나 불상의 옷 무늬, 얼굴모양 모두 파격적으로 만들어도 상관없다.

그 모든 양식이나 격식이 없는 운주사의 석탑과 불상들이 보는이로 하여금 더욱 마음에 평온을 얻게되는 건

우리 모두의 생각이 아닐까?




와불 한구석에서 머슴부처를 떼 낸 흔적이 남아 있어 이 지역의 바위가 잘 떼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현명한 석공은 이 두 와불도 떼어 내어 일으켜 세우려고 했을 게다. 그러나 이 와불은 세우지 못했다.

아직도 와불이 일어나는 날 세상이 바뀌어 천한 백성이 주인 된다는 설화만을 남긴 채 누워있다

운주사의 유물로 가장 과학적이고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칠성바위와 관련한 것이다. 일곱 개의 원반바위는

한여름 초저녁 북두칠성자리를, 위에 있는 와불은 북극성을 나타낸 것이며 바위크기는 북두칠성의 밝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운주사 뒷산 공사바위에 올라가 보니 운주사 전경이 전체적인 모양이 배와 같기도 하다. 계곡이 갑판이고 운주사 맨 앞의 구층석탑이 돛대고 운주사 중심부에 자리한 석조불감이 선실 같기도 하다. 운주사에 흩어져 있는 불상은 열심히 노를 젓고 있는 것 같다. 배는 누가 부릴까운주사 후미 높은 곳에 있는 마애불이 아닐까?

운주사 불상들은 천불산 각 골짜기 바위너설 야지에 비로자나부처님(부처님의 빛, 광명)을 주불로 하여 여러 기가 집단적으로 배치되어있다. 크기도 각각 다르고 얼굴 모양도 각양각색이다. 홀쭉한 얼굴형에 선만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눈과 입, 기다란 코, 단순한 법의 자락이 인상적이다. 민간에서는 할아버지부처, 할머니부처, 남편부처,

아내부처, 아들부처, 딸부처, 아기부처라고 불러오기도 했는데 마치 우리 이웃들의 얼굴을 표현한 듯 소박하고

친근하다.

이러한 불상배치와 불상제작기법은 다른 곳에서는 그 유형을 찾아 볼 수 없는

운주사 불상만이 갖는 특별한 가치로 평가받는다.

석탑들은 모두 다른 모양으로 각각 다양한 개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꽃무늬가 밑에 새겨진 넙쩍하고 둥근 옥개석(지붕돌)의 석탑과 동그란 발우형 석탑, 부여정림사지 5층 석탑을 닮은 백제계 석탑, 감포 감은사지 석탑을 닮은 신라계 석탑, 분황사지 전탑(벽돌탑) 양식을 닮은 모전계열 신라식 석탑이 탑신석의 특이한 마름모꼴 교차문양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탑들의 재료로 쓰인 돌은 석질이 잘 바스라져서 오히려 화강암질의 강한 대리석보다 더 고도의 기술을 습득한

불모(석공)님이 아니면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하 하니 그 석질로 빚어 만든 탑이 이렇게 수많은

세월의 풍상을 버티어 전해져 오는 것을 보면 이곳의 조형자들의 기술이 가히 최고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운주사 석탑들은 우리가 흔히 보아온 석탑들이 아니다. 우선 모양에서 호리호리한 것에서 둥글고 동그란 것까지 다양하다. 거기에 새긴 무늬도 마름모 모양(), 교차문(), 쌍교차문(XX), 수직문(),브이()모양까지 여러

가지다. 모두 정형적인 모양에서 벗어난 파격적인 것들이다.

골짜기 가운데에 있는 원형석탑이 발길을 붙잡는다. 호떡 같이 보인다하여 '호떡탑'이라 불린다. 지붕돌과 몸돌 모두 원형으로 하나의 우주를 상징하는 듯하다. 석조불감과 함께 운주사 중심부를 형성한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석탑과 불상들이 운주사를 더욱 찾고 싶은 곳으로 알려진 것은 아닐까?

그 오랜 세월의 풍파속에서도 오늘날까지 남아 우리들에게 그 무엇을 전하려는 건 아닌지...


천불산 다탑봉 운주사는 천불천탑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불교의 깊은 혼이 서린 운주사는

우리나라의 여느 사찰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불사를 한 불가사의한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



무척이나 가보고 싶은 천불천탑의 신비가 가득한 운주사를 찾게 되었습니다.

주변에 산이라 할 수 있는 풍경이 아니라 기종 사찰과 다르다는 생각을 입구부터 하게 되더군요^^

입구부터 웅장한 탑(9층석탑 보물 796호)이 반겨주네요^^

폰으로 찍은 사진이라 화질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볼만은 합니다? ㅎㅎㅎ

대부분의 불상들이 그냥 방치되어 있는 것 같아 보기는 조금 그렇지만 그 또한 세월의 흔적이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