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저 가는 교육을 다시 일으켜야 한다는 의미를 담은 소수서원 紹修書院

서원의 입구는 울창한 솔숲으로, 

오른쪽으로는 죽계수(竹溪水)가 내려다보이도록 지은 경렴정(景濂亭)이 있습니다.

성생단은 향사에 쓸 희생(犧牲)을 검사하는 단(壇)으로 생단(牲壇)이라고도 한다.

서원의 생단은 사당 근처에 있는 것이 관례인데, 소수서원의 생단은 서원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경자바위 - 경렴정에서 내려다보이는 죽계수 건너편 바위에는 주세붕이 쓴 '경(敬)',

이황이 쓴 '백운동(白雲洞)'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서원 입구의 오른편에 있는 경렴정은 원생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정자이다. 

'景濂亭'은 1543년 신재 주세붕 선생이 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정자 중에 하나입니다.

소수서원 문성공묘 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서 있는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의 강당이다.

직방재(直方齋) - 전사청(典祀廳) - 학구재(學求齋) - 지락재(至樂齋)

영정각(影幀閣) 소수서원을 세운 주세붕(周世鵬)과 안향(安珦)을 비롯해 남송시대 주자학자인 중국 유학자 주희, 선조 때의 명재상인 한음 이덕형(李德馨), 허목(許穆), 이원익(李元翼) 등의 영정이 봉안돼 있다.

서원의 건물 곳곳이 한옥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어 더욱 좋았습니다~

영정각 내부에서 본 서원 풍경

서원 건물 벽면에서도 나무의 자연적인 형과 문양을 살린 것이 더욱 멋지네요^^

미니어처로 보여주는 서원 생활의 일부

1542년(중종 37) 8월에 이곳 출신의 성리학자인 안향(安珦)을 배향(配享)하는 사당

'소수(紹修)'라 함은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닦게 하였음'이란 뜻으로 학문 부흥에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당시 명종임금은 손수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 글씨를 써서 하사하였다고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