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저 가는 교육을 다시 일으켜야 한다는 의미를 담은 소수서원 紹修書院

서원의 입구는 울창한 솔숲으로, 

오른쪽으로는 죽계수(竹溪水)가 내려다보이도록 지은 경렴정(景濂亭)이 있습니다.

성생단은 향사에 쓸 희생(犧牲)을 검사하는 단(壇)으로 생단(牲壇)이라고도 한다.

서원의 생단은 사당 근처에 있는 것이 관례인데, 소수서원의 생단은 서원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경자바위 - 경렴정에서 내려다보이는 죽계수 건너편 바위에는 주세붕이 쓴 '경(敬)',

이황이 쓴 '백운동(白雲洞)'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서원 입구의 오른편에 있는 경렴정은 원생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정자이다. 

'景濂亭'은 1543년 신재 주세붕 선생이 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정자 중에 하나입니다.

소수서원 문성공묘 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서 있는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의 강당이다.

직방재(直方齋) - 전사청(典祀廳) - 학구재(學求齋) - 지락재(至樂齋)

영정각(影幀閣) 소수서원을 세운 주세붕(周世鵬)과 안향(安珦)을 비롯해 남송시대 주자학자인 중국 유학자 주희, 선조 때의 명재상인 한음 이덕형(李德馨), 허목(許穆), 이원익(李元翼) 등의 영정이 봉안돼 있다.

서원의 건물 곳곳이 한옥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어 더욱 좋았습니다~

영정각 내부에서 본 서원 풍경

서원 건물 벽면에서도 나무의 자연적인 형과 문양을 살린 것이 더욱 멋지네요^^

미니어처로 보여주는 서원 생활의 일부

1542년(중종 37) 8월에 이곳 출신의 성리학자인 안향(安珦)을 배향(配享)하는 사당

'소수(紹修)'라 함은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닦게 하였음'이란 뜻으로 학문 부흥에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당시 명종임금은 손수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 글씨를 써서 하사하였다고 합니다.

 영주 부석사[浮石寺]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봉황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676년(문무왕 16) 2월에 의상이 왕명으로 창건한 뒤 화엄종의 중심 사찰로 삼았다.

 겨울 운치가 가득한 부석사 풍경

 무량수전으로 향하는 길목에 두개의 누각중 하나인 범종각. 배치와 지붕구조가 특징인 건축물입니다.

 범종각(梵鐘閣)

 범종각(梵鐘閣)

 

 안양루(安養樓)

 부석사 전경

 

 무량수전에서 본 석등과 풍경

 부석 "뜬돌" 곧 부석이다.
 사찰의 이름이 유래된 뜬돌. 지금도 불전뒤 바위와 그것을 덮고 있는 큰 바위 사이에 끈을 넣어 보면 넘나드는 것으로 돌이 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거기에는 애잔한 사랑이야기가 전해온다.  의상대사는 중국에서 불법을 공부할 때 잠시 머물렀던 신도의 집에서 선묘낭자와 만난다. 그후 선묘낭자는 의상대사에게만 온 마음을 바치지만, 출가한 승려를 향한 사랑은 애초부터 속세의 관념대로는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선묘낭자는 귀국길에 오른 의상과 이별하지 않기 위해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신라로 온다. 그후에도 용이 된 선묘낭자는 그를 보호하고 도와 준다. 부석사를 창건할 때도

절터에 이미 자리를 잡은 도적떼를 물리치기 위해 큰 바위를 세차례나 하늘에 띄우는 이적을 행한다.

바로 이 전설을 간직한 뜬돌을'부석'이라고 부른다.

 석등과 무량수전

 국보 제17호인 부석사 무량수전앞석등(통일신라)과  보물 제249호인 부석사삼층석탑(통일신라)

 부석사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8호  고려시대

부석사의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18호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3칸, 단층이고 팔작지붕 건축물입니다
그리고 기둥을 배흘림기둥을 사용하였는데. [ () <-이런 형태 ] 착시현상을 통해서 건물의 안정감을 꾀하기 위함입니다. 또 하나의 특징은 내부의 불상이 정면에 있는 것이 아닌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으로 다른 사찰의 형식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갖고 있습니다. 

20여년만에 찾은 부석사 감회가 남다르네요^^

무섬마을의 외나무 다리!  콘크리트 다리가 세워지기 전 세상과소통할수 있는 길은 오직 이 다리뿐

이 세상 떠나는 상여도 새색시 태운 가마도 모두 이 다리로 ...

무섬마을을 감싸 안은 물줄기는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다.

무섬마을 홈페이지   이미지 참조

삼면은 내성천 줄기에 안겨있고 뒤로는 태백산 끝자락과 이어진다.

무섬 마을의 초가집에서

고택 입구의 대문칸의 초가가 더욱 정겹더군요^^


기와지붕이 독특하죠~

초가 지붕에는 까치구멍이라 불리는 형식입니다^^

   아궁이와 외양간이 실내에 들어와 있는 까치구멍집은 연기와 냄새의 배출을 위한 환기구가 반드시 필요하기에 지붕 용마루 양 끝단 아래 합각부분을 막지 않고 틔워 놓았다. 이곳으로 간혹 까치가 드나든다고 해서 까치구멍집이다.

   까치구멍집은 밖에서 보면 모두 벽으로 막혀있어 난방과 방어에 유리하다. 정면 가운데 있는 판문을 들어서면 봉당이고 좌우로 부엌과 외양간이 함께 있는 게 보통이다. 농경이 중심이던 시기에 소는 가족구성원으로 집안에 들어왔다. 바닥이 낮은 부엌과 외양간은 상부공간에 여유가 있어 고미다락을 만들어 추수한 곡식이나 생활용품의 보관소로 활용했다. 봉당 뒤로는 마루가 있고 좌우로 방이 있다. (인터넷 참조)

영주 무섬마을은 2013년 8월 23일에 국가지정문화재 주요민속문화재 27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흙벽의 환기구멍도 나무벽도 모두 정겹네요^^


+ Recent posts